IP 주소는 인터넷 상에서 특정한 기기(컴퓨터 등)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하는 고유한 주소입니다. 그 약어(Internet Protocol)에서 보듯, 이 주소가 없으면 인터넷 상의 다른 기기와 통신할 수 없습니다. 현대 인터넷에 쓰이는 IP 주소는 크게 두가지 물리적 규약(IPv4 및 IPv6)으로 나뉘어집니다.
IPv4는 현재 쓰이고 있는 가장 일반적인 경우로서 이론상 최대 232(약 42억 9500만)개의 주소 할당이 가능하며 0에서 255(=28-1) 까지의 숫자를 4번 사용하여 최대 12자리로 구성되어 있고 크게 공인 IP와 사설(내부) IP로 나뉘어집니다.
공인 IP 주소는 전세계 인터넷 망 환경에서 자신의 기기를 식별할 수 있는 고유한 IP 주소를 의미하며 이 주소만 있으면 해당 기기에 접근이 가능합니다. 공유기 환경인 경우 한 공인 IP에 여러 개의 기기가 연결될 수 있습니다.
사설(내부) IP 주소는 특정 환경(공유기 등)에서 내부의 장비들을 식별하기 위해 할당하는 주소로서 특정 대역(10.*.*.*, 172.16.*.*, 192.168.*.* 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러한 주소들은 내부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예약된 것이므로 공인 IP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IPv6은 그 이름에서 보듯 IPv4의 물리/기술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이론상 최대 2128(약 3.4028×1038)개로 사실상 무제한에 가까운 주소를 할당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10진수 숫자로만 이루어져 있는 IPv4와는 달리 IPv6은 16진수(숫자 0-9 및 영문자 A-F)로 이루어져 있는 숫자를 8번 사용, 최대 32자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IPv6에도 공인 IP와 사설 IP의 개념이 있지만, 위의 IPv4의 경우와는 조금 다르게 쓰입니다.
OnenessSound Project는 우크라이나와 연대합니다. 우크라이나에 영광을!! We stand with Ukraine. Slava Ukraini!! Glory to Ukraine!! #StandWithUkraine
OnenessSound Project은 튀르키예와 시리아 지진 피해 지역의 지체없는 복구를 기원합니다. We Pray for Türkiye(Turkey) and Syria, in respect to their recovery from the damages of the earthqua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