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나미(津波 : Tsunami/지진해일)란, 해저나 인근 지각에서 발생한 지진이나 화산 분화 등의 대규모 지각 변동 현상이나 외계 물체(주로 소행성)가 지구 해상에 충돌했을 때 그 여파로 발생하는 해일을 말한다.
발생 조건 및 사례
- 지진으로 쓰나미가 발생할 경우, 대체로 해당 지진의 규모가 7도 이상일 경우 발생한다. (6도 후반대에서도 발생 가능하나 그 경우는 그리 많지 않다) 단 규모가 7도 이상인 경우라도 단층이 수평으로 이동한 경우 발생하지 않는다.[1]
사례
- 리스본 대지진 (1755년 11월 1일) : 포르투갈 리스본 인근 대서양 해역에서 발생한 규모 8.5 ~ 9.0 사이로 추정되는 대규모 지진 및 그에 따른 쓰나미로 인해 수많은 인명, 재산 피해가 발생했다. 당시 서구 사회에 엄청난 사회적 충격을 가져다주었으며, 서구인들의 철학적 통념이 이 사건을 계기로 격변하게 되고 근대적인 지진학(地震學, Seismology)도 이 지진 사태를 계기로 태동하게 되었다.
- 칠레 대지진 (1960년 5월 22일) : 현대의 관측, 기록된 지진들 중 가장 규모가 컸던 지진(규모 9.5)으로, 지진 자체로도 상당한 피해를 가져다 주었지만 그 여파로 발생한 쓰나미 또한 칠레, 미국, 일본 등을 포함한 태평양 연안 국가에 상당한 인명, 재산 피해를 가져다주었다.
- 동해상(일본 열도 서부 연안) 지진 (1983년 5월 26일 및 1993년 7월 12일) : 두 사건 모두 한국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 쓰나미로, 일본 열도 북동부 서부 연안에서 발생한 지진(각각 규모 7.7 및 7.8)의 여파로 발생했으며 1983년 건의 경우 국내에서 3명의 사상자 및 2명의 실종자, 3억원 이상의 재산피해가 발생했으며, 1993년 건의 경우 국내에서 4억원 상당의 재산피해가 발생했다.[2][3]
- 인도양 동부(남아시아) 대지진 (2004년 12월 26일) : 인류 역사상 최악의 피해를 발생시킨 쓰나미로 지진 자체의 규모(9.2 내외)[4]도 상당했지만 그에 따른 쓰나미로 인해 인도양 연안지역에서 총 20만명 이상이 사망했다.
- 동일본(도호쿠) 대지진 (2011년 3월 11일) : 동아시아 지역에서 관측, 기록된 지진들 중 가장 규모가 컸던 지진(규모 9.1)으로, 지진 및 쓰나미 자체로도 막대한 피해가 발생했고, 인류 역사상 최악의 핵(核) 관련 사고들 중 하나가 이 사건의 여파로 발생했다.
각주
- ↑ 실제로 2005년 현해탄(일본 규슈 근해)에서 발생한 지진의 경우 규모가 7도 내외였기에 초기에는 쓰나미 경보까지 발령되었지만 해수면에 특별한 변동은 관측되지 않았다.
- ↑ 기상청 날씨누리 웹사이트의 지진해일 페이지 참고
- ↑ 진앙지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일본에서는 1983년 건으로 104명이 사망, 1993년의 건은 230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 ↑ 지구 자전 주기에도 미세하게 변화(~2.68μs)가 있었을 정도로 강력했다.